2025 설 연휴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할인율 확대

2025년 설 연휴를 맞아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할인율이 증가합니다.

온누리 상품권은 전통시장 및 상점과 전용 상품권으로, 상품권을 구매하면 할인이 적용되는 상품인데요.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의 할인율이 상시 10%에서 설 연휴를 맞아 15%로 확대될 것이라고 합니다.

할인율 확대 기간과 자세한 이벤트 내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설-연휴-디지털-온누리-상품권-할인율-확대

설 연휴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할인율 확대

올해 설 연휴 기간을 맞이하여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할인율이 확대됩니다.

내수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인데요.

정부에서는 25년도 온누리 상품권을 5조 5,000억 원 규모로 발행한다고 합니다. 역대 최대의 연간 규모라고 하네요.

 

이번 카드형과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할인율 확대 기간1월 10일 ~ 2월 10일입니다.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의 상시 할인율은 10%인데, 이 기간 동안은 15%를 할인받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온누리 상품권 앱 다운로드 바로가기 (안드로이드)

온누리 상품권 앱 다운로드 바로가기 (iOS)

 

 

이벤트 기간 추가 혜택

명절 기간 동안 15% 할인율 확대에 더불어 추가 혜택이 있습니다.

 

온라인 전통 시장관을 이용할 경우 5% 할인 쿠폰이 지급됩니다.

디지털 결제액15%를 상품권으로 환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인당 최대 2만원까지 적용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으로 13만원 상당의 물품을 구매하면 구매 할인 (15%) 2만원, 환급 (15%) 2만원으로 4만원(30%)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정부는 ‘골목형 상점가’의 요건을 완화하고 골목형 상점가를 90개 추가 지정하여 상품권 사용처도 더 확대한다고 합니다.

25년도에는 영세 소상공인 점포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할 경우 소득공제율도 2배로 인상된다고 하니, 소득공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이러한 점포들을 많이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온누리 상품권 지류형은 재판매 등 부정 유통 관련 문제 때문에 구매 한도가 축소됩니다.

기존 15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구매 한도는 현재 200만 원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최근 온누리 상품권을 둘러싼 혼란에 대하여

지난 3일,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신규 운영 사업자로 선정된 한국 조폐공사의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통합 플랫폼에 대한 시스템 구축이 미비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기업 구매가 중단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조폐공사의 준비 미흡으로 인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이 기존 업체들에 2월까지 운영을 더 맡아달라고 요청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앞서 지난 해 8월, 한국 조폐공사가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통합 사업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카드형과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사업을 맡은 기업이 각각 KT와 비즈플레이로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조폐 공사는 기존에 지류형(종이형) 온누리 상품권을 발행해 왔는데, 통합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지류와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사업을 모두 맡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1월부터 진행되어야 했던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통합 플랫폼에 대해 3월로 개시가 미루어진 바 있으며, 3월 1일 정상 오픈을 위해 철저히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비즈플레이에서는 3월 정상 오픈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고도 하는데요.

 

소진공에서는 설 명절 기간 동안 카드형,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모두 정상적으로 구매가 가능하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단, 모바일 상품권의 선물하기 기능 등 일부 기능에 대해서는 제약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의 선물하기 기능은 1월 10일까지만 가능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플랫폼 등 운영 문제에 대해서 아직 혼란이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할인율 확대 기간은 1월 10일부터이니, 해당 기간을 맞아 온누리 상품권 구매 예정이시라면 당분간 상황을 한 번 지켜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카드 등록, 카드 사용 방법, 사용처 등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