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이 확대된다고 합니다.
정부 기여금 지급액이 어떻게 바뀌는지 혜택 변화에 대한 내용을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서 정부에서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지원하는 적금 상품입니다.
정부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하였는데요. 정부 기여금 확대가 올해 1월부터 시행된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 주세요.
▼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바로가기 ▼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적금 상품으로 월 최대 70만 원 자유 적립이며, 정부 기여금 혜택과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여 총 5,000만 원 가량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고민 중이었던 분들도, 이번에 추가하는 혜택을 살펴보고 가입을 고려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확대 금액은?
올해부터 청년도약계좌의 지원 정책이 확대되었습니다.
매칭 한도를 늘려서 기존보다 정부 기여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소득 구간별 매칭 한도가 월 70만 원까지 확대되었습니다.
매칭 한도 월 70만원까지, 기존의 매칭 한도에서 초과하여 납입하는 경우 초과분에 대해서 매칭 비율 3%를 추가로 적용하여 지급하는 것입니다.
정부 기여금 지급액이 어떻게 변하는지 먼저 표로 알아보겠습니다.
《 월 70만 원 납입 시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변화 》
소득 구간 | [기존] 정부 기여금 | [변경] (25년 1월~) 정부 기여금 |
2,400만 원 이하 | 매칭 한도 40만 원 × 매칭 비율 6%
= 월 24,000원 |
(40만 원 × 매칭 비율 6%) + (30만 원 × 매칭 비율 3%)
= 월 24,000원 + 9,000원 = 33,000원 |
2,400만 원 초과~3,600만 원 이하 | 매칭 한도 50만 원 × 매칭 비율 4.6%
=월 23,000원 |
(50만 원 × 매칭 비율 4.6%) + (20만 원 × 매칭 비율 3%)
= 월 23,000원 + 6,000원 = 29,000원 |
3,600만 원 초과~4,800만 원 이하 | 매칭 한도 60만 원 × 매칭 비율 3.7%
= 월 22,000원 |
(60만 원 × 매칭 비율 3.7%) + (10만 원 × 매칭 비율 3%)
= 월 22,000원 + 3,000원 =25,000원 |
4,800만 원 초과~6,000만 원 이하 | 매칭 한도 70만 원 × 매칭 비율 3%
= 월 21,000원 |
매칭 한도 70만 원 × 매칭 비율 3%
= 월 21,000원 |
표를 이해하기 쉽게 한 번 설명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면, 소득 구간이 2,400만 원 이하인 사람이 월 70만 원을 납입했다면 기존에는 매칭 한도가 40만 원, 매칭 비율 6%로 월 24,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변화된 매칭 한도는 70만 원이며, 기존 매칭 한도 40만 원까지는 기존의 매칭 비율 6%가 적용됩니다.
그리고 월 납입 초과분에 대해서는 매칭 비율 3%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월 70만 원을 납입하는 경우, 기존의 정부 기여금 24,000원에 더해, 초과분 30만 원에 대한 9,000원의 기여금을 더 지급받아 월 33,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기존 매칭 한도가 70만 원이었던 소득 구간 4,800만 원 초과~ 6,000만 원 이하인 경우 변화된 매칭 한도도 동일하므로 추가되는 정부 기여금의 변화가 없습니다.
정부 기여금 지급액 확대는 올해 1월 납입분부터 적용된다고 하는데요.
신규 가입자는 물론, 기존에 가입했던 가입자 역시 1월 납입분부터 혜택을 적용받게 됩니다.
개인소득 연 2,400만 원 이하인 사람이 기본 금리 4.5%로 월 70만 원을 만기 5년 동안 납입하였을 경우, 만기 수령 금액은 기존에 비해 최대 60만 원이 증가하게 된다고 합니다. 연 12만 원이 늘어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번 달 신청은 1월 10일까지 가능하니 내용을 한 번 확인해 보고 기간 내에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원이 더욱 확대된 청년도약계좌, 신청 대상 청년이라면 가입하여 목돈을 마련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